가이우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바수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이우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바수스는 아탈로스 왕조와 갈라티아 대족장 가문 출신으로, 117년 다키아 반란 진압 중 사망한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그는 게미나 제13군단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을 시작으로, 재무관, 조영관, 법무관을 거쳐 여러 군단의 군단장을 역임했다. 99년부터 101년까지 클라우디아 제11군단의 군단장, 101년과 102년 다키아 전쟁에서 여러 군단의 벡실라티온을 지휘했으며, 102/103년부터 104/105년까지 유대 속주 총독을 지냈다. 105년에는 집정관을 역임했고, 이후 카파도키아와 갈라티아 총독, 시리아 총독을 거쳐 파르티아 전쟁에 참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7년 사망 - 트라야누스
트라야누스는 로마 황제로서 다키아 정복과 파르티아 원정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원로원과 협력하여 '최고의 황제'로 칭송받았으며, 대규모 건축 사업과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로마 제국의 발전과 사회 시스템 개선에 기여했다. - 갈라티아 총독 - 루키우스 카틸리우스 세베루스
루키우스 카틸리우스 세베루스는 로마의 정치인으로, 재무관, 호민관, 집정관 등을 역임하고 파르티아 원정에서 훈장을 받았으며, 아프리카 속주 총독과 로마시 정무관을 지내며 하드리아누스의 총애를 받았다. - 70년 출생 - 티로스의 마리노스
티로스의 마리노스는 1세기 로마 제국 시대의 지리학자로, 지도 제작 방식을 개선하고 위도와 경도를 지정하는 등 지리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로마 제국에서 처음으로 중국을 지도에 표시하고 남극 개념을 만들었다.
가이우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바수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가이우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바수스 |
출생 | 70년경 |
사망 | 117년 다키아 |
소속 | 로마 제국 |
경력 | |
직책 | 집정관 |
임기 시작 | 105년 5월 |
임기 종료 | 105년 8월 |
전임자 |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칸디우스 마리우스 켈수스 II, 가이우스 안티우스 아울루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
후임자 | 마르쿠스 비토리우스 마르켈루스, 가이우스 카이킬리우스 스트라보 |
총독 | 유다이아 총독 카파도키아 총독 갈라티아 총독 시리아 총독 다키아 총독 |
군사 경력 | |
참전 | 트라야누스의 다키아 전쟁 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전쟁 |
2. 가문
가이우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바수스는 페르가몬에서 유력한 가문 출신으로 태어났으며, 이 가문은 아탈로스 왕조 및 갈라티아의 대족장들과 혈연 관계가 있었다.[10][2] 그의 아버지는 가이우스 율리우스 바수스로, 100년부터 101년까지 비티니아 속주의 프로콘술(총독)을 지냈다.[11][3] 콰드라투스 바수스에게는 최소한 한 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그의 이름은 가이우스 율리우스 바수스이며, 139년에 보좌집정관을 역임했다.[12][4]
바수스의 경력은 대략 87년에서 89년 사이에 게미나 제13군단의 트리부누스 밀리툼(tribunus militum|트리부누스 밀리툼la, 군사 호민관)으로 시작되었다.[13][5] 이후 그는 비긴티비리(vigintiviri|비긴티비리la)를 구성하는 행정관 중 하나이자, 로마 원로원 진입의 예비 단계인 모네탈리스(tresviri monetalis|트레스비리 모네탈리스la)가 되었다.[13][5] 이는 일반적인 경우와 다른 순서였는데, 보통 비긴티비리 직책은 군단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을 수행하기 전에 맡는 것이 일반적이었다.[14][6]
바수스의 군 경력은 대략 87년에서 89년 사이에 제13 게미나 군단의 트리부누스 밀리툼(군사 호민관)으로 시작되었다.[13][5] 이후 여러 행정관직을 거쳐 98년경 법무관으로 선출되었고, 이 직위는 그가 속주를 관리하거나 군단을 지휘할 자격을 부여했다. 바수스는 군 경력을 이어가기로 선택했다.[13][5]
105년 여름, 그는 4개월 동안 집정관으로 복무했다.[13][5] 집정관직은 고대 로마 사회에서 가장 높은 영예로 여겨졌으며, 로마 황제는 후보자를 신중하게 선택했다.[13][5] 집정관 임기를 마친 후, 바수스는 로마 국가 종교의 최고위 성직자들인 국가 사제단에 들어가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는 기사 계급 출신인 그에게는 중요한 사회적 업적이었다.[13][5]
바수스는 117년 다키아 속주에서 ''레가투스 아우구스티 프로 프라이토레''(황제 총독)로 복무하던 중, 그 해에 일어난 다키아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사망했다.[8]
[1]
서적
The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3. 초기 생애 및 경력
역사가 다브로바는 이러한 순서 변경이 원로원에 진출하려던 기사 계급 출신자들에게는 드물지 않았다고 지적한다.[14] 그럼에도 바수스가 맡은 모네탈리스 직위는 귀족 계급이나 황제의 총애를 받는 인물에게만 주어지는 자리였다.[14][6] 다브로바는 바수스가 세 번의 집정관을 지낸 유력한 친척 가이우스 안티우스 아울루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의 도움으로 이 선망받는 자리를 얻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15][7]
비긴티비리 임기를 마친 후, 바수스는 92년경 크레타 키레나이카 속주에서 공공 재정을 관리하는 재무관(quaestor|퀘스토르la)을 맡았다. 이 직책을 통해 그는 공식적으로 원로원에 들어갈 자격을 얻었다.[13][5] 그는 이어서 전통적인 로마 행정관직인 조영관(aedile|아이딜레la)을 수행했고, 98년경에는 법무관(praetor|프라에토르la)으로 선출되었다.[13][5] 법무관직은 바수스에게 속주를 관리하거나 군단 사령관인 레가투스 레기오니스(legatus legionis|레가투스 레기오니스la)로 복무할 자격을 부여했으며, 그는 군 경력을 선택했다.[13][5]
4. 군 경력
그는 99년부터 101년까지 첫 레가투스 레기오니스(군단장) 직위로서 제11 클라우디아 군단을 지휘했다.[13][5] 이후 101년과 102년에는 트라야누스 황제의 제1차 다키아 전쟁에 참전하여, 제4 스키티카 군단과 제12 풀미나타 군단 등 여러 군단에서 차출된 벡실라티온(파견대)의 지휘관을 맡았다.[13][5] 전쟁 이후 바수스는 102/103년부터 104/105년까지 유대 속주의 8대 레가투스(총독) 직위와 제10 프레텐시스 군단의 군단장직을 겸임했다.[13][5]
105년 집정관직을 수행한 뒤,[5] 바수스는 다시 동방 속주에서 경력을 이어갔다. 114년에는 카파도키아, 115년에는 갈라티아 총독을 역임했으며, 이후 시리아 총독으로 부임했다.[11][3] 시리아 총독 재임 기간 동안 그는 파르티아 전쟁에 참전하여 제3 갈리카 군단과 제13 게미나 군단 등 여러 군단에서 차출된 병력으로 구성된 벡실라티온을 지휘했다.[13][5]
바수스의 마지막 임지는 다키아 속주였다. 그는 레가투스 아우구스티 프로 프라이토레(황제 총독)로서 다키아를 통치하던 중, 117년에 발생한 다키아 반란 과정에서 사망했다.[16][8]
5. 집정관
6. 죽음
참조
[2]
서적
Legio X Fretensis: A Prosopographical Study of its Officers (I-III c. A.D.)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1993
[3]
간행물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https://www.degruyte[...]
1982
[4]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https://books.google[...]
Rudolf Habelt Verlag
1977
[5]
서적
Legio X Fretensis
[6]
서적
The Fasti of Roman Britain
Clarendon Press
1981
[7]
서적
Legio X Fretensis
[8]
서적
From Tiberius to the Antonines (Routledge Revivals): A History of the Roman Empire AD 14-192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9]
서적
The Cambridge Manual of Latin Epi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0]
서적
Legio X Fretensis: A Prosopographical Study of its Officers (I-III c. A.D.)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1993
[11]
간행물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https://www.degruyte[...]
1982
[12]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https://books.google[...]
Rudolf Habelt Verlag
1977
[13]
서적
Legio X Fretensis
[14]
서적
The Fasti of Roman Britain
Clarendon Press
1981
[15]
서적
Legio X Fretensis
[16]
서적
From Tiberius to the Antonines (Routledge Revivals): A History of the Roman Empire AD 14-192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